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0년 동안 처리 방식을 놓고 국제적인 논란이 돼 온 방사능 오염수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해양 방류를 공식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조금 전 가토 관방장관 등이 참석하는 관계각료회의를 열어 오염수 처분 방안을 논의한 결과 '해양 방류'로 방침을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정에 따라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앞으로 2년 뒤 오염수 방류를 목표로, 세부 시행 계획을 만들어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. <br /> <br />현재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탱크 약 1천여 개에 정화 처리를 거친 오염수 125만 톤이 보관돼 있는데 이 중 30%만 방사성 물질 배출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나머지 오염수에 대해 2차례 정화 처리를 거친 뒤 여기에 400~500배에 이르는 바닷물을 섞어 방사성 물질 농도를 낮춘 상태로 20~30년에 걸쳐 방류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 안에는 현재 기술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한 삼중수소를 비롯해 세슘과 스트론튬 등 약 60여 종의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어 해양 방류를 놓고 국제적인 논란이 이어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 피해로 수소 폭발이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에 대해 늦어도 오는 2051년까지 폐로 작업을 마칠 계획인데 오염수 방류도 이 전까지 끝낸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스가 총리는 이에 앞서 지난 7일 해양 방류 방안에 강력히 반대해 온 어업단체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해양 방류가 보다 현실적인 오염수 처리 방식임을 설명하면서 정부가 곧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오는 2022년 여름이면 오염수 보관 탱크 저장용량이 한계에 달한다는 이유로 지난해 10월 해양 방류 방침을 결정하려 했으나 후쿠시마 주민 등 국내외의 거센 반발로 결정을 미뤄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시민사회단체들은 오염수 처리 방안에 대한 공청회가 단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고, 도쿄전력도 당사자 동의 없이 방침을 정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는 등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오염수 안에 든 방사성 물질이 자연 반감하도록 육상에 보관하는 방안 등 대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비용이 적게 드는 해양 방류를 우선해 결정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후쿠시마 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41308113642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